190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경영이론을 연대별로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대/경영이론 | 1.고전적 경영이론 | 2.행동론적 경영이론 | 3.계량 경영이론 | 4.시스템 이론 | 5.현대 경영이론 |
1900년대 | O | ||||
1930년대 | O | O | |||
1950년대 | O | O | O | ||
1960년대 | O | O | O | O | |
1970년대 | O | O | O | O | O |
2000년대 | O | O | O | O | O |
1. 고전적 경영이론
고전적 경영이론은 경영에 대해 최초로 개발된 사고의 틀로서, 과학적 관리론과 경영관리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
20세기 초에 들어서 미국의 기업들은 생산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기업이 확장됨에 따라 자본은 점차 축적되고 있었지만, 노동은 공급부족 상태에 있었다. 그러므로 경영의 기본적인 목적은 기존의 노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것이었다.
테일러는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 개발에 몰두하였다. 그는 필라델피아에 있었던 미드베일 강철회사의 관리자로서, 노동자들의 태업과 게으름을 목격하였다.
그 당시 노동자들이 느린 속도로 일하는 이유로 모든 일이 빨리 끝나면, 자신들이 해고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러나 경영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노동자들의 생산목표를 결정할 수 있을 만큼 직무가 자세히 분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테일러는 미드베일 강철회사 외에도 시몬즈 롤링 기계회사와 베들레헴 제철소의 독립된 경영고문으로 수년간 일을 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테일러는 1911년에 「과학적 관리의 원칙」을 저술하였다. 과학적 관리의 본질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작업의 과학적 분석 : 전체 작업을 구성하는 각각의 작업과정을 분석한 후,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작업원칙과 관리방법을 개발한다. 이 분석 방법은 나중에 Ford 자동차에 적용되어, 표준화·단순화·전문화라는 3S 시스템으로 발전되었다.
② 작업자의 과학적 선발 : 각각의 작업에 적합한 사람을 과학적으로 선발·훈련·교육 및 개발한다.
③ 과학적 보상제도 : 일률적 시간제 임금이 아니라, 생산량에 비례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한다.
④ 과학적 경영활동 : 작업자가 자신의 과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영자는 작업계획과 지시 그리고 평가 등을 전담한다.
이러한 과학적 관리론의 핵심은 1일의 공정한 과업을 기준으로, 계획적인 생산을 실시하는 과업관리이다. 즉, 과업관리를 통해 노동자의 '공정한 1일의 작업량'을 합리적으로 할당하고 이에 따라 임금을 결정함으로써, 생산활동의 계획적 관리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과학적 관리의 개념이 도입되지 않았던 테일러 이전 시대의 경영은 표류관리 또는 주먹구구식 경영이라고 할 수 있다.
2) 페이욜의 경영관리론
과학적 관리론은 작업자 개인의 과업을 다루는 반면에, 경영관리론은 전체 조직의 경영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경영관리론은 페이욜로부터 시작되었으며, 현대 조직이론의 선구자적 역할을 하고 있다.
페이욜은 프랑스의 광업회사 사장으로서 자신이 직접 기업경영을 한 경험에 기초하여, 최고경영자의 관점에서 경영관리의 일반이론을 전개하였다. 특히 1916년에는 관리활동의 중요성과 관리교육의 필요성 때문에 「산업 및 일반관리」라는 저서를 출간하였다. 여기서 그는 '관리란 산업, 상업, 정치, 종교 및 기타 모든 사업의 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라고 주장하였다. 페이욜에 따르면 기업은 그 규모나 산업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6가지의 본질적인 기업활동이 있다고 하였다.
· 기술활동 : 제품을 생산, 제조, 가공
· 영업활동 : 원료의 구입과 제품의 판매, 교환
· 재무활동 : 자본의 조달과 운용
· 안전활동 : 종업원과 재산의 보호
· 회계활동 : 원가, 수익, 유동성 등의 자료를 기록·평가
· 관리활동 : 계획-조직-명령-조정-통제 활동
이러한 페이욜의 기업활동 개념을 오늘날의 경영학 관점에서 재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페이욜의 기업활동 | 오늘날의 경영부문 | 경영기능별 분류 |
기술활동 영업활동 재무활동 안전활동 회계활동 |
생산부문 마케팅부문 재무부문 인적자원부문 회계부문 |
수평적 경영기능 |
관리활동 | 경영관리부문 | 수직적 경영기능 |
또한 페이욜은 최고경영자로서 자신의 경영관리 경험을 토대로 하여, 경영자를 위한 지침과 방향을 체계화하려 하였다. 그 결과 효과적인 경영을 위한 관리의 일반원칙으로서 ①분업, ②권한과 책임, ③규율, ④명령일원화, ⑤지휘 통일화, ⑥전체 이익에 대한 개인의 복종, ⑦공정한 보상, ⑧권한의 집중화, ⑨계층화의 원칙, ⑩질서, ⑪공정, ⑫종업원의 안정, ⑬종업원의 창의력, ⑭종업원의 단결 등 14가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페이욜의 이론은 그의 사후 20년이 지난 194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미국에 소개되었고, 그의 선구적인 경영사상은 당시의 미국 경영학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왜냐하면 관리자의 직무에 대한 실제적이고 명확한 접근과 관리원칙의 보편성에 대한 인식은 현대 경영학의 기본문제에 대한 비상한 통찰력을 보여 주었기 때문이다.
테일러를 중심으로 한 과학적 관리론은 작업현상 수준에서 효율성 증가에 관심이 있는 미시적 접근이었다면, 페이욜의 경영관리론은 조직 전체 수준에서 효율성 관리를 중시한 거시적 접근방식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이론의 발전 (계량경영이론, 시스템 이론, 현대경영이론(일부)) (0) | 2023.06.29 |
---|---|
경영이론의 발전 (행동론적 경영이론) (0) | 2023.06.28 |
경영학의 인접학문 (0) | 2023.06.27 |
경영활동의 원리 (0) | 2023.06.27 |
경영의 핵심요소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