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부문
주요 용어
*재무관리 *이익계획 *수익성비율 *타인자본 *화폐의 시간가치 *재무예측 *재무통제 *경영위험 *현재가치 *재무계획 *ROI기법 *재무위험 *미래가치 *재무분석 *장기자본 *실물자산 *투자결정 *재무비율분석 *단기자본 *금융자산 *자본조달결정 *유동성비율 *자본비용 *자본예산 *이익극대화 *레버리지비율 *자본구조 *합병과 인수 *기업가치의 극대화 *활동성비율 *자기 자본
1. 재무관리의 개념
1) 재무관리의 의의
재무관리는 두 가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좁은 의미로서 기업의 자금과 직접·간접적으로 관련된 활동으로, 기업재무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의 재무관리는 기업재무뿐만 아니라, 유가증권·부동산·외환 등의 투자에 관한 연구, 금융기관과 금융제도에 관한 연구, 국가의 재정정책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등 광범위한 연구분야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업재무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자금흐름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자금의 조달 및 운용, 그리고 그와 관련된 계획·실행 및 통제 등의 모든 활동이 재무관리의 연구대상이 된다.
재무관리의 주요 관심대상은 자금, 시간, 위험 또는 수익률의 3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이를 다시 표현하면 '화폐의 시간가치'라고도 하며, 여기서 가치란 각 화폐흐름의 시간과 위험(이 위험은 수익률로 환산됨)을 고려하여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된 결과를 말한다. 그 일정 시점이 언제인가에 따라 현재가치와 미래가치로 나눌 수 있다.
① 현재가치 : 오늘 1원의 가치는 내일 1원의 가치보다 크다는 원리 아래,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 것이 자산의 현재가치로서 재무관리의 기초개념이다. 오늘 1원은 이자수입이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곳에 투자될 수 있기 때문에, 내일의 1원보다 가치가 크다.
② 미래가치 : 가치는 현재 일정금액의 가치가 미래의 일정시점에서는 얼마가 될 것인가를 파악하려는 것으로, 종가라고도 한다.
2) 재무관리의 기능
재무관리의 기능은 학자들에 따라 다르게 정의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투자결정 기능, 자본조달결정 기능, 그리고 배당결정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의 이익을 배당금과 유보이익으로 배분하는 배당정책은 기업의 자본조달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 배당문제를 자본조달결정의 한 부분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재무관리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기업의 자금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와 관련되는 투자결정과, 기업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와 관련되는 자본조달결정이다.
(1) 투자결정 기능
투자결정 기능은 기업의 미래 수익성과 성장에 직접 관계되는 것으로서, 기업이 경영활동을 위해 어떤 자산에 투자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투자결정은 현금·재고자산·외상매출금 등의 유동자산에 관한 결정과, 건물·설비 등의 비유동자산에 관한 결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투자결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업의 현재와 미래 상황을 고려하여, 기업이 소유하고 운영할 자산의 최적배합을 결정하는 것이다.
(2) 자본조달결정 기능
자본조달결정은 기업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이것은 자기 자본과 타인자본에 대한 의사결정을 의미한다.
자본조달결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부채와 자본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자본조달의 최적배합과 관련된 의사결정이라고 볼 수 있다.
3) 재무관리의 목표
재무관리는 기업활동을 자금의 측면에서 다루기 때문에, 재무관리의 목표는 기업의 목표와 일치한다. 기업의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하여는 많은 논란이 있으나, 가장 자주 거론되고 있는 것이 이익극대화와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다.
(1) 이익극대화
이익극대화는 전통적으로 기업의 목표로 간주되어 왔으나,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익극대화가 기업의 목표로서 과연 타당한가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이익극대화 목표는 이익개념의 모호성, 현금흐름의 시간성 무시, 그리고 미래에 기대되는 현금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점 때문에, 기업의 목표로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이익극대화 목표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 개념이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다.
(2) 기업가치의 극대화
기업가치는 근본적으로 기업의 수익성과 위험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는 변수인 기업의 수익성과 위험은 기업이 어떠한 투자결정과 자본조달결정을 하였는가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얼마나 수익성 있는 자산에 투자하고 있나? 그 투자의 위험은 어떠한가? 투자를 위한 자본조달은 어떠한 방법으로 하였나? 등이다.
이러한 의사결정이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투자결정과 자본조달결정이 기업의 수익성과 위험을 좌우하게 되어, 다음과 같이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투자결정→수익성→기업가치
유동자산결정
비유동자산결정
자본조달결정→위험→기업가치
부채결정
자본금결정
배당금결정
2. 재무계획
1) 재무계획의 의의
재무계획은 경영계획의 일종으로서, 기업예산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재무계획의 정의는 좁은 의미로 재무예산, 즉 자금예산을 의미하며, 현금수지계획·운전자본계획·자본수지계획 등이 포함된다.
넓은 의미로는 기업의 목표이익의 수립, 자본의 조달과 운영에 관한 계획이다. 바꾸어 말하면, 미래 기업의 재무상태와 영업성적에 관한 예측과 계획을 의미하며, 투자수익률과 재무유동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투자수익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본지출계획
· 투하자본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이익계획
· 재무유동성 유지와 자금예산
· 자본비용을 최소로 하는 자본조달과 자본구조의 계획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비용&자본구조 (0) | 2023.07.11 |
---|---|
자본조달과 자본구조 (0) | 2023.07.10 |
노사관계론 (0) | 2023.07.07 |
인사고과와 보상 (0) | 2023.07.07 |
인적자원관리의 체계 (0) | 2023.07.07 |